산-염기 반응에서 H+는 항상 센 산에서 센 염기로 이동한다. 즉, 산은 약산의 짝염기에게 양성자를 줄 것이고, 약산의 짝염기는 강산으로부터 양성자를 떼어낼 것이다. ⇒ pKa가 더 낮은 물질이 산으로 작용한다. 산-염기 반응으로 생성되는 짝산은 출발 물질로 사용되는 산보다 약하고 반응성이 낮아야 하며, 생성되는 짝염기는 출발 물질로 사용한 염기보다 약하고 반응성이 낮아야만 한다. 예시: acetic acid (pKa=4.76)와 hydroxide ion (짝산인 H2O의 pKa=16) 간의 반응. 생성물인 짝산이 pKa가 출발물인 acetic acid보다 높다. 즉, 약산이며 반응성이 낮다. Problem 2-14. Will either of the following reactions take pl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