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4

공대입졸 | 재학-11. 대학원생에게 운동 및 취미생활의 중요성에 대해

이공계 대학원은 대부분 전업(full-time) 대학원생이다 보니, 집과 연구실만 반복하는 생활을 할 확률이 높다. 주말 출근은 일상이고 심지어는 연구실에 간이 침대를 놓고 쪽잠을 자며 연구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몇 년이 될지 모르는 장기간의 대학원 생활을 버티기 위해서는 취미 생활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 외적으로 기쁨과 성취감을 얻을 루트가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대학원생에게 취미 생활과 운동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또한, 추천하는 운동과 취미도 언급하려 한다. 1) 대학원생이 취미를 가질 시간이 있나요? '대학원생이 취미 생활을 한다고?'라고 놀랄 수도 있겠다. 대부분의 대학원생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연구실에 아주 긴 시간을 머물러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취미 생활은..

공대입졸 | 입학-8. 이공계 대학원 면접 준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제 공대입졸 [입학] 시리즈의 마지막, 면접 준비만이 남았다. 다른 모든 과정이 그렇겠지만 특히나 떨리고 오랫동안 준비해야 하는 단계기도 하다. 이공계 대학원 면접은 크게 전공 면접과 인성 면접으로 나뉜다. 전공 면접은 면접장 앞에서 문제를 풀고 들어가 설명하거나 면접장 내에서 즉석으로 문제를 내고 답을 듣는 구술고사 형태로 진행되고, 답변이 끝나면 질의응답이 이어지거나 인성 면접이 이어진다. 나는 대학원 입시를 준비할 당시 두 군데 면접을 보았었다. 한 대학원은 전공 과목 다섯 개 중 하나를 골라 면접장 앞에서 문제를 10분 정도 풀고 들어가 설명 후 인성 면접을 보는 식이었다. 반면 다른 대학원은 방 다섯 군데를 돌아다니며 각 방에 있는 교수님들께서 구두로 전공 문제를 내는 구술고사 식이었다. 따라..

내가 박사과정을 시작할 때 알았다면 좋았을 20가지

Nature career column에 2018년도 게재된 Lucy A. Talyor 님의 글을 번역하여 요약하였습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doi: https://doi.org/10.1038/d41586-018-07332-x 1. 당신에게 맞는 루틴을 찾아서 건강한 워라밸을 유지하라. 2. 당신의 지도교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라. 3. 문헌들을 review하는 데 시간을 써라. 4. 당신의 목표를 가능한 빨리 정하라. 5. 기억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말고 적어놔라. 6. 당신의 일과 업무 공간을 정돈하라. 7. 논문을 작성하기에 너무 이른 시간은 없다. 8. 당신의 논문을 SMART (specific, measurable, attainable, relevant, ..

공대입졸 | 입학-3. 좋은 연구실이란? 입학 전 점검해야 할 사항, 연구실 정보 얻는 꿀팁

이제 당신은 나름 구체적인 연구 주제도 정했다. 그렇다면 해야 할 것은 지원할 연구실을 찾는 것이다. 이공계 대학원은 대학원 면접만 통과한다고 전부가 아니다. '공대입졸' 시리즈 1편에서 언급했듯, 이공계 대학원은 주로 지도교수 밑의 연구실에 소속되어 다니면서 연구하고 논문을 쓰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 주제를 다루는 연구실은 어떻게 찾을까? 1) 내가 하고 싶은 연구 주제를 다루는 연구실 찾기 일단 가장 편한 방법은 자대(본인이 재학 중인/졸업한 대학) 대학원을 알아보는 방법이다. 대학원에 미리 진학한 친한 선배/동기/후배(가 없다면 미안합니다..)로부터 어떤 연구를 하는지, 교수님께서는 어떤 식으로 연구 지도를 하는지 상세히 알려줄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을 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