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 9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5. Taxane 제제 (paclitaxel, docetaxel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중 마지막, taxane 제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Taxane이란? taxane 제제 종류 및 구조 taxane이란 diterpene 구조를 가진 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taxane 제제인 paclitaxel과 docetaxel의 중앙 구조를 보시면 taxane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실 수 있습니다. | Taxane 제제 작용 기전 탁센 제제는 세포 분열 중 미세소관(microtube)의 작용을 방해하여 염색체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즉, 탁센 제제는 분열 중인 세포에만 작용하므로 세포주기 특이약제(cell-cycle-specific drug)입니다. 따라서 세포 분열이 활발히 일어나는 위장, 골수,..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4. Topoisomerase 억제제 (irinotecan, topotecan, eptoside, doxorubicin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중 topoisomerase 억제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Topoisomerase란? topoisomerase는 DNA의 전사 및 복제 과정, 염색체의 분리 및 재결합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 DNA의 위상(topological state)을 변화시켜 엉켜 있는 DNA를 끊어 완화시키고 다시 이어주면서 일정 부분의 DNA가 복제되거나 재조합 복구 또는 전사가 일어나도록 합니다. 즉, topoisomerase가 억제되면 DNA의 전사 및 복제, 염색체의 분리 및 재결합이 방해되어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열할 수가 없게 됩니다. topoisomerase 억제제는 이렇듯 DNA에 간접적으로 관여하여 DNA 복제를 막음으로써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항..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3. 알킬화제제 (mechlorethamine, cyclophosphamide, ifosfamide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중 알킬화제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번 글에서 알려드린 백금제제 또한 알킬화제제 중의 한 종류인데요. 알킬화제제란 DNA, RNA, 단백질 등과 결합하여 알킬화(Alkylation)를 일으켜 DNA의 복제 및 RNA 전사를 방해함으로써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입니다. 주로 DNA를 타겟으로 하여 DNA 구성 요소인 구아닌(guanine)의 N7과 결합하여 알킬화를 일으키는 알킬화제제가 많습니다. 알킬화제제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지난 번 글에서 소개한 백금제제를 포함하여 니트로겐 머스터드계(nitrogen mustard), 에틸렌이민(ethylenimine) 및 메틸메라민(methylmelamine) 계 등 아래 표와 같이 다..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2. 백금제제 (cisplatin, carboplatin, oxaliplatin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중 백금제제의 특징과 종류, 작용기전을 알아보겠습니다. 백금제제는 알킬화제 중 한 종류로, 말그대로 백금(platinum)을 기반으로 한 항암제입니다. 대표적으로 cisplatin (시스플라틴), carboplatin (카보플라틴), oxaliplatin (옥살리플라틴)이 임상에서 사용됩니다. 백금제제는 모두 중심부에 백금(Platinum, Pt)을 가지고 있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백금제제 화합물은 체내 세포의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로 들어간 후, 세포 핵(nucleus)까지 침투하여 DNA와 결합함으로써 DNA의 복제 능력을 막아 세포 사멸(apoptosis)을 유발합니다. 백금제제는 모두 중심부에 백금(Pt)을 킬레이션하고 있는 화합물로, 세..

공대입졸 | 재학-6. 이공계 대학원도 학점이 중요한가요? 대학원 수강신청 팁

이제 막 대학원 신입생이 되었다면 대학원에서는 어떤 강의를 듣고, 어떻게 수강신청을 해야 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학교 커뮤니티나 인터넷에 종종 올라오는 질문으로 '대학원 학점도 중요한가요?'라는 질문이 있다. 이러한 질문을 하는 이유는 이공계 대학원은 학부와는 달리 학점보다는 논문 등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학원 학점을 망쳐도 될까? 대학원 학점을 어느 정도로 챙겨야 하는지, 대학원 학점은 어디에 쓰이는지를 이공계 대학원의 수업 방식부터 시작해서 학점의 중요성을 짚어보도록 하겠다. 1) 이공계 대학원 수업 방식과 수강 신청 팁 최근 대학원의 실상을 아주 잘 알려주고 있는 네이버 웹툰 의 한 컷이다. 웹툰에서 교수님이 안고 있는 퀴즈, 발표, 팀플, 시험, 토론.. 어쩐..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1. 항대사물질 (5-fluorouracil, gemcitabine, methotrexate, mercaptopurine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지난 글에서 세대 별 항암제 종류 및 특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중에서도 항대사물질이 무엇인지, 특징과 작용기전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항대사물질(Antimetabolite)이란, 우리 몸의 물질대사(metabolism)를 방해하는 물질입니다. 암 세포는 정상 세포와는 달리 끊임없이 DNA 복제를 통해 세포 복제를 하며 세포 수를 늘려 나가는데요. 항대사물질은 세포 분열 시 필요한 요소(예: 피리미딘, 엽산, 퓨린 등)와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암 세포가 DNA가 아닌 항대사물질과 결합함으로 인해 DNA 복제를 막음으로써 항암 작용을 나타냅니다. 항대사물질의 종류가 많다 보니 작용 기전 또한 다양한데요. 위의 구조에서 보이듯 folic ..

세대 별 항암제 작용기전, 종류, 특징 및 장단점 정리 |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 3세대 면역항암제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대 별 항암제의 종류, 특징 및 장단점을 한 번에 정리하고자 합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항암제도 점점 발전하여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에서 2세대 표적항암제, 3세대 면역항암제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의 항암제가 개발이 되어 왔습니다. 종류가 많아진 덕에 다양한 종류의 암을 치료할 수는 있지만 환자들에게는 '이 항암제는 검증이 된 약인가?'하는 불안함도 있을 것입니다. 본 글에서 임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항암제를 다룰 수는 없지만, 각 세대 별 대표적인 항암제와 그에 따른 장단점, 부작용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 1세대 세포독성항암제는 암세포를 공격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입니다. 대표적인 세포독성항암제로는 항대사물질, 백금제제, 알킬화..

저녁 운동 시 식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저녁 운동 영양 섭취 가이드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저녁 운동 시 식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글을 가지고 왔습니다. 이 글은 유투브 피톨로지 채널의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식사 3시간 뒤 운동 권장 직장인의 경우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정시 퇴근 여부에 따라 영양 섭취 전략이 달라진다 1. 정시 퇴근 가능할 때 - 집까지 1시간 이상 이동해야 되면 직장 근처에서 운동, 그 이하면 집 근처에서 운동 - 이때 식사는 아침이나 점심을 먹었느냐에 따라 정해야 함. 총량이 제일 중요. - 아침 점심을 충분히 먹었다면 간식도 필요 X. 그래도 간식 먹고 싶으면 3-4시에 계란, 우유, 두유 등 단백질 유지 식품 섭취. - 단, 일할 때 근육을 많이 사용하거나 노동량이 많다면 빵, 감자, 고구마, 시리얼 ..

공대입졸 | 재학-5. 연구 논문 읽는 방법, 논문 내용 정리 팁

이번 글에서는 리뷰 논문이 아닌 research paper(일반적인 연구 논문)을 어떻게 읽고 정리하면 좋을지에 대해 기술하려 한다. 리뷰 논문은 대체로 해당 분야에 대한 배경지식과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읽지만, 연구 논문은 다양한 목적으로 읽곤 한다. 논문을 읽는 목적에 따라 읽는 방법도 달라질 것이고, 정리하는 방법도 달라질 것이다. 1) 연구 논문 읽는 목적 리뷰 논문과 달리 연구 논문은 보통 읽는 목적이 정해져 있다. 목적에 따라 논문 전체를 읽기도 하고, 논문의 극히 일부분만 읽기도 한다. 주로 논문을 읽게 되는 목적은 아래 세 가지인데, 이 외에도 간혹 연구실 세미나에서 발표를 해야 한다든지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크게 카테고리를 나누자면 아래와 같겠다. 1. 특정 연구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