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바이오 화학 이슈 및 상식/제약 바이오 이슈 모음

먹는 코로나 치료제 비교 | 머크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vs 화이자 팍스로비드

라브 (LAB) 2022. 2. 11. 22: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머크와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 치료제'를 비교해보려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긴급사용승인이 되었고, 머크의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승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몰누피라비르의 개발 상황과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주요 성분 구조 비교 / (C) copyright by LABlog

 

먼저 구조는 위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뉴클레오사이드의 derivative인 N4-hydroxycytidine의 전구 약물(prodrug)로 쉽게 말하자면 DNA의 핵심 구조인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입니다.

반면 팍스로비드는 3CL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억제제인 니르마트렐비르와 니르마트렐비르의 분해를 막아주는 리토나비르, 두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몰누피라비르는 전구 약물(prodrug)입니다.

전구 약물이란 그 상태 그대로는 약물의 효능이 없지만 인체에서 대사를 거치면서 활성화되어 효능이 나타나는 약물로 변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전구 약물의 장점은 인체에서 대사를 거치면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을 수 있으며, 일반 약물보다 반감기가 길다는 점입니다.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의 작용 기전 / 출처: Antibiotics 2021, 10 (11), 1294

 

그래서 몰누피라비르의 작용 기전을 보시면 체내에 주입하면 esterase라는 효소에 의해 동그라미 친 isopropyl ester group이 hydroxyl group (OH) 으로 변합니다. 

여기서 세포 내로 들어가게 되면 triphosphate 꼴로 변해서 활성화된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즉 몰누피라비르는 체내에서 두 번의 대사를 거쳐야 활성화되는 약물입니다.

이렇게 활성화된 형태의 몰누피라비르는 세포 내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RNA와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합니다.

 

팍스로비드의 작용 기전은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으니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팍스로비드의 주성분인 니르마트렐비르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복제에 필요한 바이러스성 단백질의 3CL 단백질 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코로나19의 복제를 막습니다.

머크 몰누피라비르 vs 화이자 팍스로비드 / (C) copyright by LABlog

 

간단하게 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머크의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세포 내 COVID19 RNA와 결합하여 복제를 억제하는 반면,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코로나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3CL 단백질 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COVID19의 복제를 억제합니다.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는 고위험군 대상 30%로 너무 낮은 효능과 여러 부작용이 발생함으로 인해 임상이 중단되고 우리나라에서 긴급사용승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고위험군 대상 89%로 높은 효능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긴급사용승인이 되어 현재 처방이 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효능이 너무 낮고, 머크 외의 다른 많은 제약회사들에서 경구 투여용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보니 머크의 몰누피라비르가 사용승인 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하나의 약을 개발하는 데는 최소 5-6년에서 길게는 몇십년 간 연구가 이루어집니다.

세계적인 전염병의 치료를 위해 전세계에서 발빠르게 코로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많은 약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연구 기간이 짧다 보니 소위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약물들이 임상에서 실패하는 경우는 굉장히 많습니다.

하루 빨리 코로나19의 확산이 잦아들고 평화로운 일상을 회복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