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

코로나 켄타우로스 이름 유래, 전파력, 위험성 / 코로나19 변이 명명법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최근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코로나 켄타우로스'의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이 들려 다시 한 번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여러분이 많이 들어보신 알파, 베타, 감마, 오미크론과 이번 새로운 변이인 '켄타우로스'는 사뭇 다른 느낌인데요. 이 변이 '켄타우로스'라는 명칭은 어떻게 정해진 걸까요?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명칭을 붙이는 법부터 시작하여, 이번 코로나 켄타우로스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코로나19 변이 명명법 기존의 바이러스 변이 명칭은 원 이름 뒤에 그리스어 알파벳을 붙이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분이 많이 알고 계신 알파, 베타, 감마, 오미크론, 엡실론 모두 그리스어 알파벳입니다. 이렇게 코로나 변이 명명..

긴급사용승인된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과연 안전할까? | 몰누피라비르 대상군, 부작용, 효능, 작용 기전(매커니즘)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월 23일 부로 긴급사용승인된 머크 사의 '라게브리오캡슐(몰누피라비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게브리오의 성분 몰누피라비르는 nucleoside의 유사체 N4-hydroxycytidine의 전구 약물(prodrug)입니다. 전구 약물 형태일 때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효능을 나타내지 않지만 체내에 주입되어 esterase라는 효소에 의해 대사가 일어나 isopropyl ester가 hydroxy group으로 변하고, 이후 세포 안으로 들어가 kinase라는 효소에 의해 triphosphate form으로 변하면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활성화된 형태의 몰누피라비르는 세포 내 존재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RNA와 결합하여 복제를 억제합니다. 2021년 11..

먹는 코로나 치료제 비교 | 머크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vs 화이자 팍스로비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머크와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 치료제'를 비교해보려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긴급사용승인이 되었고, 머크의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승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몰누피라비르의 개발 상황과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구조는 위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뉴클레오사이드의 derivative인 N4-hydroxycytidine의 전구 약물(prodrug)로 쉽게 말하자면 DNA의 핵심 구조인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입니다. 반면 팍스로비드는 3CL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억제제인 니르마트렐비르와 니르마트렐비르의 분해를 막아주는 리토나비르, 두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몰..

코로나19 치료제 성분, 제형, 작용 기전, 승인 범위 (2022.02.01. 기준)

갈수록 오미크론이 심해져 가는 와중에 코로나19 치료제가 안전한 건지, 무슨 성분인 건지에 대해 시끌시끌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의 성분은 무엇인지, 작용 기전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허가 및 긴급사용승인된 제품은 총 3가지입니다. *출처: https://www.mfds.go.kr/vaccine_covid19.jsp 렘데시비르(Remdesivir),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 Regdanvimab)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허가되었고, 팍스로비드(PAXLOVID)는 가장 최근 긴급사용승인된 제품입니다. 렘데시비르와 렉키로나주는 모두 주사기로 주사하는 정맥주사제고, 팍스로비드는 경구 투여하는 알약형, 즉 캡슐제입니다. 먼저 각 치료제들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