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 9

러닝 시 복통 이유 및 해결법 (Runner's belly)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러닝 시 복통이 오는 이유와 해결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러닝 시 복통 이유 많은 러너들이 달리는 도중 복통을 경험하며 설사, 구토 등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는 30-90%의 러너가 겪을 정도로 흔한 현상*이며 그 이유로는 러닝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식사 또는 호르몬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러닝 시 복통의 이유가 러닝 그 자체라니 의아하실 수도 있겠지만 사실입니다. 러닝을 하다 보면 배가 차가워지고 손발이 따뜻해진 경험이 있으실텐데요. 우리가 달리기를 하게 되면 몸의 중심부인 몸통(가슴, 배)으로 향하던 혈류가 말단 부위(팔, 다리)로 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화 기능이 약해져 러닝 도중 복통, 설사 등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또한 러..

Cancer-immunity cycle (암 면역 주기) 및 cancer immunotherapy (면역항암요법)의 이해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ancer-immunity cylce (암 면역 주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Cancer-immunity cycle이란? Cancer-immunity cycle이란 면역 체계(immune system)이 암 세포를 알아차리고 공격하는 일곱 단계를 일컫습니다. 일반적으로 암 환자들에게는 여러 이유로 암 면역 주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체내의 면역 체계가 암 세포를 원활하게 없애지 못합니다.* 면역항암요법은 이러한 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정상화시키고, 암 면역 주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암 세포를 죽일 수 있도록 돕는 항암요법입니다. 즉, 암 면역 주기에 대한 이해가 면역항암요법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 | Cancer-immunity c..

공복 운동, 모두에게 좋을까? | 공복 운동 효과 높이는 법, 공복 운동 간/신장 손상, 공복 운동 여자 남자 효과 차이, 공복 운동 단점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저녁에 시간이 나지 않아서 혹은 공복 유산소 운동이 다이어트에 효과가 좋다는 얘기를 듣고 아침 혹은 새벽에 공복 운동을 하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공복 운동, 잘못하면 독이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공복 운동의 효과를 건강하게 높이는 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 공복 유산소 운동이 오히려 건강을 해친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공복 유산소 운동을 하면 체내에 저장된 지방을 소모하기 때문에 공복 유산소 운동이 체중 감량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공복 유산소 운동 시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요. 바로 아침에는 체내에 저장된 에너지원이 적다는 점입니다. 전날 저녁 우리가 먹은 탄수화물, 지방 등 에너지는 우리가 자는 사이에 간과 근육에서 뇌로 이동..

3세대 면역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3. PD-L1 억제제 (atezolizumab, durvalumab, avelumab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3세대 면역항암제 중 하나인 'PD-L1 inhibitor'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PD-L1이란? PD-L1은 Programmed death-ligand 1의 줄임말로 CD274 또는 B7-H1 (B7 homolog 1)이라고도 불립니다. 위의 그림과 PD-1 억제제 관련 글에서도 설명했듯이, PD-L1은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단백질입니다. 주된 역할은 임신, 장기 이식, 자가면역 질환 등 특이적인 상황에서 면역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단 암 세포에만 발현되지 않고 대식세포(macrophage),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 등 다양한 세포의 표면에서도 발현됩니다.* 다만 암..

3세대 면역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2. PD-1 억제제 (pembrolizumab, nivolumab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3세대 면역항암제 중 'PD-1 inhibitor'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D-1이란? PD-1이란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1의 줄임말로, CD279라고도 합니다. T cell 또는 B cell 표면에 붙어 있는 receptor이며, T cell의 면역 작용을 억제하여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항암 작용과 관련해서는 immune checkpoint (면역관문)으로써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먼저 림프절에 있는 antigen-specific T cell (항원 특이적 T세포)의 세포 사멸(apotosis, programmed cell death)을 유도합니다. 또한, 자가 항원에 면역 관용을 유지하는 regulatory..

3세대 면역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1. CTLA4 억제제 (ipilimumab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3세대 면역항암제인 'CTLA4 억제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면역항암제란? CTLA4 억제제에 대해 알려드리기 전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면역항암요법으로는 크게 adoptive cell therapy, immune checkpoint blockade therapy, cancer vaccine therapy가 있는데요.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면역항암제는 주로 '면역관문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로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암 세포를 죽일 수 있도록 돕는 항암제입니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면역관문억제제는 T cell의 표면 혹은 종양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다양한 receptor에 결합..

치매 원인이 '베타 아밀로이드'임을 밝힌 논문, 조작이었다? | 치매 원인 규명 논문 조작 논란 총정리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최근 치매의 원인이 '베타-아밀로이드 (amyloid-ß, Aß)' 단백질임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의 조작 의혹이 불거져서 논란이 되었는데요. 논문 조작 의혹이 사실인지, 베타 아밀로이드는 무엇인지, 이 논란이 왜 이렇게 큰 파장을 일으키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베타-아밀로이드는 무엇인가요? 베타-아밀로이드의 정확한 명칭은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입니다. 36-43개의 아미노산이 이어져 만들어진 펩타이드로, amyloid precursor protein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 APP)이 ß-secretase (베타 분비 효소) 및 gamma-secretase (감마 분비 효소)에 의해 쪼개져서 생성됩니다. 생성된 아밀로이드 베타가 서로 뭉치면 oligomer ..

2세대 표적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9. PI3K/mTOR 표적항암제 (everolimus, alpelisib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PI3K/mTOR 표적항암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I3K/mTOR란? PI3K는 phosphoinositide 3-kinase의 약자로 세포 분열, 증식 등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mTOR는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의 약자로 phosphatidylinositol 3-kinase-related kinase 중 하나입니다. 즉, 두 단백질 모두 세포 분열과 증식에 관여하는 효소입니다. | PI3K/mTOR 표적항암제 PI3K/mTOR 표적항암제 종류 및 구조입니다. 에베로리무스는 mTOR를 타겟으로 하고, 알펠리십은 PI3K를 타겟으로 합니다. 에베로리무스는 유방암, 신경내분비종양, 신장세포암 및 뇌..

2세대 표적항암제 종류, 특징 및 작용기전 정리 | 8. VEGFR 표적항암제 (bevacizumab, sorafenib 등)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VEGFR 표적항암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VEGFR이란? VEGFR이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줄임말로, 우리 말로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VEGF는 혈관 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단백질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receptor에 붙는데, 이는 위 그림에 잘 나와있습니다. | VEGFR 표적항암제 종류 대표적인 VEGFR 표적항암제로는 위 분자 구조가 명시된 sorafenib (소라페닙, 상품명 넥사바)과 antibody인 bevacizumab (베바시주맙, 상품명 아바스틴)이 있습니다. 소라페닙은 주로 신세포암, 간세포암, 진행성 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