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 10

긴급사용승인된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과연 안전할까? | 몰누피라비르 대상군, 부작용, 효능, 작용 기전(매커니즘)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월 23일 부로 긴급사용승인된 머크 사의 '라게브리오캡슐(몰누피라비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게브리오의 성분 몰누피라비르는 nucleoside의 유사체 N4-hydroxycytidine의 전구 약물(prodrug)입니다. 전구 약물 형태일 때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효능을 나타내지 않지만 체내에 주입되어 esterase라는 효소에 의해 대사가 일어나 isopropyl ester가 hydroxy group으로 변하고, 이후 세포 안으로 들어가 kinase라는 효소에 의해 triphosphate form으로 변하면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활성화된 형태의 몰누피라비르는 세포 내 존재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RNA와 결합하여 복제를 억제합니다. 2021년 11..

일동제약 시오노기 공동 개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S-217622' 임상 현황, 구조, 작용 기전(매커니즘)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현재 일동제약과 시오노기가 공동 개발중인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S-217622'의 임상 현황 및 작용 기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217622는 2021년 11월 17일 식약처로부터 2상과 3상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았습니다. 최근 시오노기가 추진한 2a상 결과 바이러스 역가 양성 비율이 60-80%로 크게 줄어듦에 따라 일동제약에서는 임상시험 계획을 변경하여 경증 및 중등증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을 2b상과 3상으로 분리하기로 하였습니다. 목표시험대상자수는 국내 200 명을 포함한 총 2364 명으로, 2022년 1월부터 국내 환자 투여를 시작했습니다. 임상시험 기간은 2022년 7월까지로 그 후 시험 완료일 및 결과 보고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일동제약과 시오노기에서 공..

공대입졸 | 입학-11. 신생 랩의 장단점, 젊은 교수님들은 과연 꼰대가 아닐까?

신생 랩은 일반적으로 연구실이 생긴지 3 년이 채 안 된 신생 연구실을 일컫는다. 대학원을 가기 위해 연구실을 알아보다 보면 '신생 랩은 안 된다'는 조언을 많이 접할 듯하다. 신생 랩인 경우 랩 세팅을 직접 해야 하며 체계가 잡혀있지 않아 연구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이유가 많다. 최근 네이버 웹툰에서 정식 연재를 시작한 의 최근 화에서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신생 랩은 단점만 있는 걸까? 1) 신생 랩의 단점 먼저 랩 세팅이 무엇인지 설명해주려 한다. 랩 세팅이란 연구실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최적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랩 세팅은 크게 물적 인프라와 인적 인프라 구축 두 분야로 나뉜다. 물적 인프라란 말 그대로 연구에 필요한 장비, 비품, 시약 등을 구매하고 때로는 장비 설정을 ..

영어로 논문 쓸 때 유용한 사이트 3군데 추천 | 영어 표현 교정, 동의어 찾기, 영어 문맥 파악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영어에 매우 능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분들이라면 영어로 논문을 쓰다 보면 계속 같은 표현을 쓰는 것 같고, 이 문법이 맞나 헷갈릴 때가 있으실 텐데요. 이런 경우 참고하기 유용한 사이트 세 군데를 추천드리려 합니다. 1. Power Thesaurus (powerthesaurus.org) : 영단어 동의어, 반의어, 정의, 문장 예시 찾는 사이트 처음으로 추천드릴 사이트는 "Power thesaurus"입니다. 굉장히 심플하고 직관적으로 생긴 사이트인데요. 주된 기능은 '동의어 (synonym) 찾기'지만, 그 외 반의어, 정의, 문장 예시 찾기 등 꽤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첫 화면에서 검색창에 궁금한 영단어 혹은 숙어를 입력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se..

공대입졸 | 재학-2. 이공계 대학원에서의 하루 엿보기 - 연구 외적인 일들

대학원에서 연구만 하면 좋으련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대학원이라는 교육 기관에 입학한 이상 수업도 들어야 하고, 논문제출자격시험(a.k.a. 논자시)도 치뤄야 하며, 연구실 관련 행정 업무도 다뤄야 한다. 어떨 때는 연구실에 출근해서 연구보다 그 외 업무를 더 많이 하는 날이 있기도 할 정도로, 대학원에서 연구 외적인 일이 꽤나 잦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 외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는지 알아보자. 1) 수업 및 발표 관련 일 코스웍(Course work) 기간에는 학점을 채우기 위해 혹은 본인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해 (또는 지도교수의 수업이라서) 전공 수업들을 듣는다. 한 학기에 많으면 4 과목, 보통은 2-3 과목을 듣는 듯하다. 학부생일 때에 비하면 굉장히..

코로나 상비약 추천, 테라플루 콜드앤코프 | 테라플루 가격, 테라플루 성분 구조, 테라플루 데이 & 나이트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약국에서 코로나 상비약을 찾으실텐데요. 인터넷 상에서 코로나 상비약으로 가장 많이 추천받는 약이 바로 '테라플루 콜드앤코프'입니다. 테라플루 콜드앤코프는 테라플루의 콜드앤코프 버전, 즉 감기와 기침 증상에 보다 초점을 둔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국에 방문하여 살펴봤는데, 테라플루 콜드앤코프 가격은 6개입은 7천원, 10개입은 만원에 판매중이었습니다. 약국 지점마다 가격이 약간 다를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테라플루 콜드앤코프는 데이타임과 나이트타임 두 제품군으로 나뉘는데요. 성분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먼저 데이타임의 유효성분 및 효능 효과를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감기 증상에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는 종합감기약..

공대입졸 | 재학-1. 이공계 대학원에서의 하루 엿보기 - 연구 설계, 실험, 논문 작성

드디어 대학원에 입학한 당신, 축하한다. 이미 알다시피 이공계 대학원은 대부분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속하여 하루의 대부분을 연구실에서 보낸다. 어떤 연구실은 출퇴근 시간이 9 to 9, 10 to 10으로 정해져있기도 하지만 특별한 출퇴근 시간이 없이 완전 자율에 맡기는 연구실도 있다. 전자와 후자 중 어떤 연구실이 더 생산적인지 묻는다면, 정말 사바사(사람 바이 사람)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열정과 의지, 연구 역량, 맡고 있는 연구 주제의 수에 따라 하루에 해야 할 일들이 같은 연구실 내에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일'이란 건 무엇일까? 연구실에서 하는 일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 글에서는 이공계 대학원생으로서 해야 하는 일들을 입학 전 미리 살펴보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대학원에 온 목적..

비타민 B군 종류, 비타민 B군 숫자 의미, 비타민 B 복합체 구조 및 효능, 비타민 B 결핍 시 증상, 비타민 정의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타민 B군(비타민 B 복합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다른 비타민들과는 다르게 왜 비타민 B는 비타민 B1, B2 등 여러 종류로 구별이 되는 걸까요? 먼저 비타민(vitamin)의 정의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비타민이란, vital (필수) + amine (질소 유기물) 의 합성어로 체내 신진대사, metabolism에 필수적이나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아주 소량만 합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섭취가 필수적인 물질들입니다. 그 발견 순서에 따라 비타민 A부터 E까지 명명되었고, 비타민 B는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하나의 물질이라고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이후 연구를 통해 처음 비타민 B로 여겨졌던 물질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화합물들의 복합체인 것이 밝..

영양 미네랄 (무기영양소) 하루 권장량 총정리 | 칼슘, 염소, 나트륨, 구리, 아이오딘, 칼륨, 인, 마그네슘, 철분, 아연 하루 권장량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비타민 외에도 체내에 필수적인 다양한 영양 미네랄들의 하루 권장량을 총정리해보았습니다. 영양 미네랄은 쉽게 말해서 무기염류, 무기 영양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많이들 아시는 칼슘, 철분, 나트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신경 신호를 전달하고 우리 몸을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아래 표 외에도 다양한 영양 미네랄이 많지만 주로 영양제로 섭취를 많이 하시는 성분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름 하루 권장량 하루 최대 섭취량 칼슘 (Calcium) 31-50세: 1,000 mg 51-70세: 남자 1,000 mg, 여자 1,200 mg 71세 이상: 1,200 mg 2,500 mg 염소 (Chlorine/Chloride) 14-50세: 2,300 mg 51-70세: 2,..

공대입졸 | 입학-10. 석사? 석박통합? 박사? 석사 후 박사와 석박통합의 차이 및 장단점

대학원 입학을 결정할 때 석사로 입학할 것인지, 석박통합으로 입학할 것인지 고민할 것이다. 일부 대학의 경우 입학 지원 시 오로지 석사로만 지원이 가능하고 석사 학위 과정 중 통합과정으로의 변경 신청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 지원 시부터 석사 지원과 석박통합 지원이 나뉘어 있다. 박사 학위까지를 목표로 한다면 무엇이 본인에게 더 유리할지 고민이 될텐데 이번 글에서는 석사와 박사의 차이는 무엇인지, 석사와 석박통합 중 어떤 게 더 유리한지에 대해 알려주려 한다. 1) 석사와 박사의 차이 유명한 인터넷 meme으로 위와 같은 사진이 돌아다닌다. 학사 과정 4년, 석사 과정 2년, 박사 과정 (최소) 4년임을 감안하면 학위 과정 동안 얼마나 많은 것을 배우고 학계가 어떤 곳인지를 체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