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3

공대입졸 | 재학-2. 이공계 대학원에서의 하루 엿보기 - 연구 외적인 일들

대학원에서 연구만 하면 좋으련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대학원이라는 교육 기관에 입학한 이상 수업도 들어야 하고, 논문제출자격시험(a.k.a. 논자시)도 치뤄야 하며, 연구실 관련 행정 업무도 다뤄야 한다. 어떨 때는 연구실에 출근해서 연구보다 그 외 업무를 더 많이 하는 날이 있기도 할 정도로, 대학원에서 연구 외적인 일이 꽤나 잦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 외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는지 알아보자. 1) 수업 및 발표 관련 일 코스웍(Course work) 기간에는 학점을 채우기 위해 혹은 본인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해 (또는 지도교수의 수업이라서) 전공 수업들을 듣는다. 한 학기에 많으면 4 과목, 보통은 2-3 과목을 듣는 듯하다. 학부생일 때에 비하면 굉장히..

코로나 상비약 추천, 테라플루 콜드앤코프 | 테라플루 가격, 테라플루 성분 구조, 테라플루 데이 & 나이트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약국에서 코로나 상비약을 찾으실텐데요. 인터넷 상에서 코로나 상비약으로 가장 많이 추천받는 약이 바로 '테라플루 콜드앤코프'입니다. 테라플루 콜드앤코프는 테라플루의 콜드앤코프 버전, 즉 감기와 기침 증상에 보다 초점을 둔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국에 방문하여 살펴봤는데, 테라플루 콜드앤코프 가격은 6개입은 7천원, 10개입은 만원에 판매중이었습니다. 약국 지점마다 가격이 약간 다를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테라플루 콜드앤코프는 데이타임과 나이트타임 두 제품군으로 나뉘는데요. 성분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먼저 데이타임의 유효성분 및 효능 효과를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감기 증상에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는 종합감기약..

공대입졸 | 재학-1. 이공계 대학원에서의 하루 엿보기 - 연구 설계, 실험, 논문 작성

드디어 대학원에 입학한 당신, 축하한다. 이미 알다시피 이공계 대학원은 대부분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속하여 하루의 대부분을 연구실에서 보낸다. 어떤 연구실은 출퇴근 시간이 9 to 9, 10 to 10으로 정해져있기도 하지만 특별한 출퇴근 시간이 없이 완전 자율에 맡기는 연구실도 있다. 전자와 후자 중 어떤 연구실이 더 생산적인지 묻는다면, 정말 사바사(사람 바이 사람)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열정과 의지, 연구 역량, 맡고 있는 연구 주제의 수에 따라 하루에 해야 할 일들이 같은 연구실 내에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일'이란 건 무엇일까? 연구실에서 하는 일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 글에서는 이공계 대학원생으로서 해야 하는 일들을 입학 전 미리 살펴보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대학원에 온 목적..

비타민 B군 종류, 비타민 B군 숫자 의미, 비타민 B 복합체 구조 및 효능, 비타민 B 결핍 시 증상, 비타민 정의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타민 B군(비타민 B 복합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다른 비타민들과는 다르게 왜 비타민 B는 비타민 B1, B2 등 여러 종류로 구별이 되는 걸까요? 먼저 비타민(vitamin)의 정의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비타민이란, vital (필수) + amine (질소 유기물) 의 합성어로 체내 신진대사, metabolism에 필수적이나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아주 소량만 합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섭취가 필수적인 물질들입니다. 그 발견 순서에 따라 비타민 A부터 E까지 명명되었고, 비타민 B는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하나의 물질이라고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이후 연구를 통해 처음 비타민 B로 여겨졌던 물질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화합물들의 복합체인 것이 밝..

영양 미네랄 (무기영양소) 하루 권장량 총정리 | 칼슘, 염소, 나트륨, 구리, 아이오딘, 칼륨, 인, 마그네슘, 철분, 아연 하루 권장량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오늘은 비타민 외에도 체내에 필수적인 다양한 영양 미네랄들의 하루 권장량을 총정리해보았습니다. 영양 미네랄은 쉽게 말해서 무기염류, 무기 영양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많이들 아시는 칼슘, 철분, 나트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신경 신호를 전달하고 우리 몸을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아래 표 외에도 다양한 영양 미네랄이 많지만 주로 영양제로 섭취를 많이 하시는 성분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름 하루 권장량 하루 최대 섭취량 칼슘 (Calcium) 31-50세: 1,000 mg 51-70세: 남자 1,000 mg, 여자 1,200 mg 71세 이상: 1,200 mg 2,500 mg 염소 (Chlorine/Chloride) 14-50세: 2,300 mg 51-70세: 2,..

공대입졸 | 입학-10. 석사? 석박통합? 박사? 석사 후 박사와 석박통합의 차이 및 장단점

대학원 입학을 결정할 때 석사로 입학할 것인지, 석박통합으로 입학할 것인지 고민할 것이다. 일부 대학의 경우 입학 지원 시 오로지 석사로만 지원이 가능하고 석사 학위 과정 중 통합과정으로의 변경 신청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 지원 시부터 석사 지원과 석박통합 지원이 나뉘어 있다. 박사 학위까지를 목표로 한다면 무엇이 본인에게 더 유리할지 고민이 될텐데 이번 글에서는 석사와 박사의 차이는 무엇인지, 석사와 석박통합 중 어떤 게 더 유리한지에 대해 알려주려 한다. 1) 석사와 박사의 차이 유명한 인터넷 meme으로 위와 같은 사진이 돌아다닌다. 학사 과정 4년, 석사 과정 2년, 박사 과정 (최소) 4년임을 감안하면 학위 과정 동안 얼마나 많은 것을 배우고 학계가 어떤 곳인지를 체감하게..

비타민 하루 권장량 및 과다복용 기준 총정리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많은 분들이 비타민을 선택할 때 기준으로 하루 권장량을 충족했는가와 너무 함량이 많은 건 아닌가를 살펴볼텐데요. 이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비타민 종류 별 하루 권장량과 과다복용 기준을 총 정리해보았습니다. 해당 기준은 하버드 의대의 기준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니, 본인의 비타민 제품과 비교해주세요! 이름 하루 권장량 최대 복용량 비타민 A (레티노이드, 카로틴) 남성: 900 mcg (3,000 IU) 여성: 700 mcg (2,333 IU) 3,000 mcg (약 10,000 IU) 비타민 B1 (티아민/타이아민) 남성: 1.2 mg 여성: 1.1 mg not known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남성: 1.3 mg 여성: 1.1 mg not known 비타민 B3 (니아신/나..

공대입졸 | 입학-9. 대학원 합격 후 입학 전 해야 할 일 3가지

어느덧 입학에 관련된 글이 마무리 되어 간다. 면접까지 마무리하고 합격 통지를 받았다면, 아마 입학 전까지 길면 3개월, 짧아도 1개월의 시간이 있을 것이다. 이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맘껏 놀라고도 하고, 여행, 영어 공부 등을 권한다. 이 글에서는 보다 현실적으로 대학원 합격 후 입학 전 해야 하는 일을 차근차근 알려줄 예정이다. 아래 세 가지 일을 마쳤다면 남는 시간 동안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후회 없는 시간을 보냈으면 한다. 1) 컨택한 연구실 지도교수님께 연락 지극히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합격 통보를 받는 즉시 지도교수께 연락을 취해야 한다. 간혹 합격 후 행정 절차에 따라 지도교수가 배정이 되고 본인에게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가 있다. 합격하면 당연히 등록금을 내고..

비타민 하루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해도 되나요? | 비타민 과다복용, 비타민 권장 섭취량 이상 복용, 종합비타민과 비타민 단일 제품 동시 섭취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요즘 부쩍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비타민을 복용하려고 알아보고 있는데요. 종합비타민의 경우 대부분 비타민이 하루 권장량 100%, 혹은 그 이하로 여러 비타민들이 모여 있는데 단일 종류 비타민 제품의 경우, 하루 권장량의 300%, 1000%를 넘는 제품들도 많더라구요. 이런 비타민들을 하루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해도 되는지, 종합비타민과 단일 비타민 제품을 같이 섭취해도 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러면 일단 비타민 종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봐야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비타민에는 수용성과 지용성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구분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종류 비타민 B, C 비타민 A, D, E, K 특징 - 물에 잘 녹는다 - 체내에 저장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

공대입졸 | 입학-8. 이공계 대학원 면접 준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제 공대입졸 [입학] 시리즈의 마지막, 면접 준비만이 남았다. 다른 모든 과정이 그렇겠지만 특히나 떨리고 오랫동안 준비해야 하는 단계기도 하다. 이공계 대학원 면접은 크게 전공 면접과 인성 면접으로 나뉜다. 전공 면접은 면접장 앞에서 문제를 풀고 들어가 설명하거나 면접장 내에서 즉석으로 문제를 내고 답을 듣는 구술고사 형태로 진행되고, 답변이 끝나면 질의응답이 이어지거나 인성 면접이 이어진다. 나는 대학원 입시를 준비할 당시 두 군데 면접을 보았었다. 한 대학원은 전공 과목 다섯 개 중 하나를 골라 면접장 앞에서 문제를 10분 정도 풀고 들어가 설명 후 인성 면접을 보는 식이었다. 반면 다른 대학원은 방 다섯 군데를 돌아다니며 각 방에 있는 교수님들께서 구두로 전공 문제를 내는 구술고사 식이었다. 따라..

항생제 먹을 때 술 마셔도 되나요? | 술 마셔도 되는 항생제, 항생제와 술의 관계

안녕하세요, 라브입니다. 많은 분들이 다양한 이유로 항생제를 처방을 받아 먹을 때, '술'을 마셔도 되는지 궁금해 하시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항생제마다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약을 먹을 때는 별도의 권고가 없더라도 술을 마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섭취한 약이 간에서 대사를 통해 우리 몸에서 분해가 되거나 약효를 나타내는데, 술까지 마시면 간에서 처리해야 할 대사가 많아져서 간에 더한 무리가 가기 때문이에요. 몇몇 약의 경우 알코올과 반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구역질, 구토, 두통, 갈증, 어지럼증, 기절, 혈압의 변화, 이상 행동, 운동 실조와 같은 여러 부작용을 나타낼 수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심장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내부 출혈, 호흡 곤란, 우울증 등 다양한 합병증의..

공대입졸 | 입학-7. 이공계 대학원 입시 팁 방출! 대학원 스펙의 중요성, 지원 동기, 자기소개, 연구 계획(수학계획) 작성 팁

이제 본격적인 대학원 입시의 시작, 입학 지원서 제출이 남았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입학 지원서에는 경력부터 연구 계획까지 쓸 내용이 굉장히 많고 다양하다. 따라서 가고자 하는 대학원의 입학 지원서는 가능한 미리 다운 받아서 작성하는 것을 권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미 컨택 메일에 입학 지원서의 내용 중 일부 항목(자기소개, 지원 동기, 연구 계획)을 별도의 자기소개서 파일을 만들어 첨부했기 때문에, 입학 지원서 작성 시 크게 어렵지 않았다. *보통 대학원 입시 홈페이지의 자료실에 있다. 1) 대학원 입시, 스펙이 중요한가요? 대학원 입시는 출신 대학, 학점, 연구 경력 등 '스펙'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게 아닌가요? 할 수 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학계에서는 이럴 때 통용되는 마법의 단어가 있..

먹는 코로나 치료제 비교 | 머크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vs 화이자 팍스로비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머크와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 치료제'를 비교해보려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긴급사용승인이 되었고, 머크의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승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몰누피라비르의 개발 상황과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구조는 위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는 뉴클레오사이드의 derivative인 N4-hydroxycytidine의 전구 약물(prodrug)로 쉽게 말하자면 DNA의 핵심 구조인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입니다. 반면 팍스로비드는 3CL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억제제인 니르마트렐비르와 니르마트렐비르의 분해를 막아주는 리토나비르, 두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몰..

공대입졸 | 입학-6. 연구실 인턴, 하면 뭐가 좋은데?

교수님과의 컨택에 성공하여 인턴까지 하게 되었다면 '나 거의 합격 확정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하지만 수련회처럼 당신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연구실 인턴 경험이 합격에 유리하게 작용할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지 달라진다. 연구실 인턴 경험은 당신이 연구실을 파악하는 기회도 되지만, 연구실 구성원 및 지도교수도 당신을 파악하는 기회가 된다. 나는 현재 재학 중인 연구실 외에 타 연구실에서 한 달 정도 인턴을 한 경험이 있고, 현재 연구실에서 여러 인턴들을 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인턴을 했을 때 좋은 점과 나쁜 점, 그리고 인턴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써보려 한다. 1) 연구실 인턴, 꼭 해야 하는가? 먼저 연구실 인턴 경험이 대학원 합격 여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답은 No다...

내가 박사과정을 시작할 때 알았다면 좋았을 20가지

Nature career column에 2018년도 게재된 Lucy A. Talyor 님의 글을 번역하여 요약하였습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doi: https://doi.org/10.1038/d41586-018-07332-x 1. 당신에게 맞는 루틴을 찾아서 건강한 워라밸을 유지하라. 2. 당신의 지도교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라. 3. 문헌들을 review하는 데 시간을 써라. 4. 당신의 목표를 가능한 빨리 정하라. 5. 기억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말고 적어놔라. 6. 당신의 일과 업무 공간을 정돈하라. 7. 논문을 작성하기에 너무 이른 시간은 없다. 8. 당신의 논문을 SMART (specific, measurable, attainable, relevant, ..